CALL FUNCTION 'ZGL_GET_POPER'
    EXPORTING
      bukrs      = c_bukrs
      budat_low  = gv_fr_dt
      budat_high = gv_to_dt
    TABLES
      er_poper   = gt_poper.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
> Function source

 DATA: BEGIN OF lt_t009 OCCURS 0,
      bdatj TYPE t009b-bdatj,
      bumon TYPE t009b-bumon,
      butag TYPE t009b-butag,
      poper TYPE t009b-poper,
      reljr TYPE t009b-reljr,
    END OF lt_t009.

  RANGES s_bdatj FOR t009b-bdatj.
  DATA l_budat TYPE dats.

  DATA: lv_low TYPE sy-datum,
        lv_high TYPE sy-datum.

  CLEAR: lv_low, lv_high.

  lv_low = budat_low.
  lv_high = budat_high.

  SELECT bdatj bumon butag poper reljr
    INTO TABLE lt_t009 FROM t009b
    WHERE periv = 'ZF'
      AND bdatj = lv_low(4).

  IF lv_high IS INITIAL.
    lv_high = lv_low.
  ENDIF.

  LOOP AT lt_t009.

    CONCATENATE lt_t009-bdatj lt_t009-bumon lt_t009-butag INTO l_budat.
    IF l_budat >= lv_low AND l_budat <= lv_high.
      er_poper-gjahr = lt_t009-bdatj + lt_t009-reljr.
      er_poper-poper = lt_t009-poper.
      er_poper-budat = l_budat.
      er_poper-rpmax = CEIL( lt_t009-poper / 16 ) * 16.
      er_poper-gigan = er_poper-poper MOD 16 .

      IF er_poper-gigan = 0.
        er_poper-gigan = 16.
      ENDIF.

      APPEND er_poper. CLEAR er_poper.
    ENDIF.
    CLEAR lt_t009.
  ENDLOOP.

  SORT er_poper BY budat.

> Function 수행후 값 가져오는 부분

  LOOP AT gt_poper.

    LOOP AT gt_ska1.
      CLEAR faglflext.
      SELECT *   FROM faglflext WHERE ryear = p_woldo(4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AND  rpmax = gt_poper-rpmax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AND  rldnr = 'Z1'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AND  rbukrs = '1000'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AND  racct = gt_ska1-saknr.

        ASSIGN ' ' TO <fs>.
        CONCATENATE 'FAGLFLEXT-HSL' gt_poper-gigan INTO l_field.

        ASSIGN (l_field) TO <fs>.

        IF <fs> IS NOT INITIAL.
          gt_data2-budat = gt_poper-budat.
          gt_data2-hkont = faglflext-racct.
          gt_data2-gsber = faglflext-rbusa.

          IF faglflext-rfarea IS INITIAL.
            gt_data2-fkber = 'ZZZZZZ'.
          ELSE.
            gt_data2-fkber = faglflext-rfarea.
          ENDIF.

          IF faglflext-drcrk = 'S'.
            gt_data2-s_amt = <fs>.
          ELSE.
            gt_data2-h_amt = <fs> .
          ENDIF.


          COLLECT gt_data2. CLEAR gt_data2.

        ENDIF.

      ENDSELECT.

      CLEAR gt_ska1.
    ENDLOOP.

    CLEAR gt_poper.
  ENDLOOP.


Posted by 아빠!캠핑가!
,
II. 투자부동산의 평가방법

투자부동산의 평가방법은 회사가 원가법과 공정가액법 중 선택할 수 있는바 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.

 1. 원가법

투자부동산을 취득원가로 기록한 후 내용연수동안 안분하여 감가상각하는 방법을 말한다.

<사례>

- 12월 결산법인인 조세상사(주)는 2009.1.1. 건물을 1,000,000원에 취득한바 동 건물을 임대하는데 사용하고자 한다.
- 건물의 내용연수는 5년이며 잔존가액은 0 이다.
- 동 부동산은 원가법으로 회계처리하고자 하며 감가상각은 정액법에 의한다.
- 2009.12.31. 동 건물의 공정가액: 1,500,000 원
- 2009.1.1. 회계처리

(차) 투자부동산  1,000,000           (대) 현금      1,000,000

-  2009.12.31. 회계처리

(차) 감가상각비  200,000             (대) 감가상각누계액  200,000
    
* 1,000,000/ 5년. 
** 원가법으로 평가하는 투자부동산의 경우 회계연도말에 별도로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지 않음.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 2.공정가액법

투자부동산을 취득원가로 기록한 후 감가상각을 하지 아니하고 회계연도말에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평가손익을 당기 손익으로 반영하는 방법을말한다.

<사례>

- 12월 결산법인인 조세상사(주)는 2009.1.1. 건물을 1,000,000원에 취득한바 동 건물을 임대하는데 사용하고자 한다.
- 건물의 내용연수는 5년이며 잔존가액은 0 이다.
- 회사는 동 부동산을 공정가액법으로 회계처리하고자 한다.
- 2009.12.31. 동 건물의 공정가액: 1,500,000 원
- 2009.1.1. 회계처리

(차) 투자부동산  1,000,000           (대) 현금      1,000,000

-  2009.12.31. 회계처리

(차) 투자부동산  500,000            (대) 투자부동산평가이익 500,000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 (영업외수익)
    
* 공정가액으로 평가하는 투자부동산의 경우 회계연도말에 감가상각은 하지 않으나 공정가액으로 평가함으로써 발생하는 평가손익을 당기 손익(영업외손익)으로 반영한다. 
Posted by 아빠!캠핑가!
,
T-CODE : FBKP


Posted by 아빠!캠핑가!
,